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이 만든 변화

게시물 정보
작성자 경기지기
등록일 2025-02-14
조회 391
키비쥬얼 요소-라인-곡선(1)키비쥬얼 요소-라인-곡선(2)
소소한 신체활동을 시작으로 맞이한(텍스트: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휠체어에 탄체 엄지를 내민 청년
소중한 삶의 큰 변화들시각장애인 안내견과 함께 웃고있는 여성

수치로 보는

장애인 신체 활동 비율

2024년 장애인 기회소득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 된
“기회소득 참여 이전의 주간 신체활동 횟수 조사” 결과,

응답자 6,814명 중 비활동적 신체 활동자가
무려 55%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비활동적(주 1회 이하) 54.6%, 매우 활동적 (주 6~7회) 6.7%, 활동적(주 4~5회)17.2%, 저활동적 (주2~3회) 54.6%비활동적비활동적(주 1회 이하)(주 1회 이하) 6.7%매우 활동적매우 활동적(주 6~7회)(주 6~7회) 17.2%활동적활동적(주 4~5회)(주 4~5회) 21.5%저활동적저활동적(주 2~3회)(주 2~3회)

2024년 기회소득 참여자를 대상으로 ‘평균 신체활동 횟수’ 설문조사 진행

응답자 총 6,814명의 사업 참여 이전의 신체 활동 정도를 입력한 자료

흐릿한 휠체어 이미지
인용부호(시작)

이러한 답변은 그동안 장애인들이
꾸준한 활동을 이어 나갈 수 있는

지지와 응원으로 함께 할 지원이
얼마나 부족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인용부호(끝)
무릎에 얼굴을 파묻고 우울해보이는 사람
인용부호(시작)

신체적·정신적 장애를 겪다 보면
자연스레 활동이 점차 줄어들고
그런 경험이 누적되다 보면

정신적 스트레스와 신체능력 감소로
자존감마저 손상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인용부호(끝)

그렇기에 경기도는
이런 어려움의 악순환을 겪고 있는
도내 장애인들이 본인 스스로 건강을 지키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건강 프로그램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낙서 펜 효과(노란색)

적극 시행낙서 펜 효과(노란색) 합니다.

활동도 하고 보상도 얻는

일석이조
장애인 기회소득!

스스로 주도하는 가치활동을 통해
역량 강화의 기회를 누려요.

아이콘-스마트워치

스마트 워치를 활용해
주 2회 이상 가치활동 인증

파란 화살표
아이콘-스마트폰

전용 앱을 통해 사회참여활동
사진 게시 등 추가 미션 수행

초록 화살표

활동 완료 후 기회소득 수령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은
단순히 소득보장을 위한 제도가 아닌,

장애인 스스로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사회적 가치 활동을 인정 받은
최초의 사례입니다.

자발적인 신체 활동,

사회 참여의 시작!

경기도는 장애인 기회소득 시범사업이
장애인을 사회적 가치 창출의 주체로 인정하고,
장애인 스스로의 건강증진에 대한 노력이
사회적으로 존중 받는 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 청년(남) 일러스트
    스마트 워치를 항상 차고 다니다 보니

    8천 보 이상 많이 걷게 됐어요!

    운동도 되고,
    당수치도 정상으로 돌아왔어요!

    남○○, 정신장애

  • 청년(여) 일러스트
    이 사업에 참여하고 나서
    TV를 거의 안 봐요.

    그 시간에 더 걷고,
    내 걸음 수를 더 챙기면서

    몸이 정말 좋아졌어요!

    이○○, 청각장애

  • 노인(남) 일러스트
    기존에는 집과 병원만 통원 했는데,

    기회소득을 통해 가까운 곳에
    구경할 수 있는 관광지가 있으면
    방문하여 참여하고 있어요!

    최○○, 신장장애

신체활동 변화

사전
사후

54.6%

11.9%

21.5%

26.0%

17.2%

29.5%

6.7%

32.6%

비활동적
(주 1회 이하)

저활동적
(주 2~3회 이하)

활동적
(주 4~5회 이하)

매우 활동적
(주 6~7회 이하)

사전 : 2024년 기회소득 참여자가 사업 참여 이전에 답변한 신체활동 횟수

사후 : 사업참여기간(2024년1월 ~ 12월) 동안 평균 운동횟수에 대한 답변

활동 후 겪은

긍정적 변화

장애인 기회소득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업 참여집단 104명과
미참여집단 100명을 대상으로

사업 전·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삶의 만족도, 자존감 차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됐습니다.

  • 신체적 건강상태 변화

    3

    3.2

    3.4

    3.6

    3.8

    • 3.14
    • 3.74
    사전사후
  • 정신적 건강상태 변화

    3

    3.2

    3.4

    3.6

    3.8

    • 3.23
    • 3.72
    사전사후
  • 삶의 만족도 변화

    3

    3.25

    3.5

    3.75

    4

    • 3.32
    • 3.95
    사전사후
  • 자존감 변화

    30

    31.25

    32.5

    33.75

    35

    • 32.62
    • 34.98
    사전사후

어울려 사는
세상을 만드는

당신의 노력을

경기도가 응원합니다!

경기도 엠블램(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동료들과 함께 웃고있는 휠체어를 탄 회사원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