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 재발견
새해를 맞이한 지 석 달이 되어가는 지금, 연초에 세운 목표나 계획을 잘 실천하고 있을까?
작심삼일로 포기하고 스스로를 탓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윤대현 교수에게 계묘년 건강한 마음 관리법을 들어보았다.
“시험을 앞두고 공부 계획을 세웠지만 결국 드라마를 보느라 지키지 못했어요. 저는 왜 매일 계획만 세우고 지키지 못 할까요?”
“야근을 해서라도 오늘 안에 반드시 맡은 일을 마치겠다고
다짐했지만, 빈둥대다 결국 내일로 미룬 저 자신이 한심해요.”
이 질문에 명쾌한 대답을 해주는 이가 있으니, 바로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윤대현 교수다.
그는 진료실에서 환자를 만나기도 하지만, 방송이나 강연 등을 통해 많은 이에게 마음 처방을 해왔다. 윤 교수는 계획을 세우고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들 중에는 완벽주의자가 많다고 말했다.
“많은 분이 일을 미루다 벼락치기로 해치우고 나면 결과물의 질이 떨어지고 몸은 몸대로 힘들어지는데도 왜 미루는지 모르겠다고 푸념을 하세요.
하지만 재미있게도 이런 태도는 일을 엄청 잘하고 싶은 욕구 때문에 생겨요. 완벽주의는 강박을 유발하는데, 강박은 곧 불안입니다. 너무 완벽하게 하려니까
몸이 얼어붙어서 안 움직이는 겁니다. 이 불안감을 없애야 하는데 요즘 사회가 ‘최선을 다해라’, ‘그게 최선이냐’라고 다그치니까 더 힘든 거죠.
또 계획을 세우고 지키지 못하면 이 사실이 자신을 괴롭혀 동기를 떨어뜨리고 더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윤 교수는 수학 문제 100개를 풀겠다는 계획에서 2~3개만 풀겠다는 식으로 목표치를 확 낮추라고 조언했다. 성공해본 경험을 쌓아야 목표
달성률도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두세 문제를 목표로 정하고 푼 다음 스스로 목표를 달성했다고 칭찬해주고 다시 목표를 상향하는 식으로 이루어나간다면 충분히 계획을
지키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큰 계획은 무계획과도 같아서 아무 의미가 없고 삶을 흔들 정도로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큰 계획을 반복해서
세우는 사람은 헛된 희망에 젖어 실천보다 계획을 세울때의 짜릿함에 빠져 있는 상태이므로 자신을 냉철하게 돌아보고 가능한 계획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하면 언젠가는
큰 계획도 이룰 수 있을 거라는 충고다. 윤 교수의 목표 실천 해결법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가 일상으로 매끄럽게 돌아가는 방법과도 일맥상통한다.
무기력감과 불안감이 높아지는 시대
팬데믹으로 인해 일상이 무너지고 힘들었던 시간이 지나고 이제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됐다. 그런데 예전 같은 삶이 점점 가능해지는 요즘 오히려 무기력감과 불안감을
호소하는 이가 늘고 있다. 윤 교수는 큰 전쟁을 치른 후이니 당연한 일이라고 위로했다.
“지금 우리는 팬데믹이라는 일종의 큰 전쟁을 치렀습니다. 전쟁이 끝났으니 당연히 후유증이 생길 수밖에요. 손흥민 선수가 최선을 다해 경기를 뛸 때는 펄펄 날지만,
경기가 끝난 후에는 녹초가 되는 것과 같아요. 그런데 경기가 끝난 후 그 누구도 손흥민 선수에게 왜 그리 힘이 빠져 있느냐고 묻는 사람이 없잖아요.
지금 우리가 그래요.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해 에너지를 쏟아 코로나19와 싸웠어요. 이제 코로나19라는 실제적 스트레스 요인이 줄었으니 그로 인한 후유증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윤 교수는 ‘요즘 왜 더 지치지?’라고 의문을 갖는 사람이 많지만, 지금 더 지치는 것이 정상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지쳐 있을 때는 모든 조절 능력이 떨어져 마인드 컨트롤도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감정과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거리 두기를 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눈을 감는 것. 눈을 감고 자신에게 집중하다 보면 불안한 마음이 조금씩
가라앉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윤 교수는 번아웃 상태인 사람들은 무엇을 하기보다 자신을 질책하거나 비난하는 것부터 멈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요즘 시대에는 지금 힘든 게 당연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신을 토닥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내 마음을 알아주세요’라는 말과 같은데, 저는 이것을 ‘자기 추앙’이라고 표현합니다.
<나의 해방일지>라는 드라마에 나온 말이기도 한데, 자신을 추앙하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가지라고 권합니다.”
윤 교수는 자신을 추앙하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가지면 예전으로 돌아갈 힘인 회복 탄력성을 갖게 된다고 조언했다.
자신을 추앙하라
“코로나19 때문에 지친 게 당연한데, 그럼에도 자신이 유리 멘털이라 다른 사람보다 약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신에 대한
2차 가해입니다. 2차 가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자기 추앙이 필요합니다. 자신을 추앙하는 방법은 일단 힘든 게 당연하다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행동입니다.”
윤 교수는 누군가를 사랑할 때 생일도 안 챙겨주고 밥도 안사주면서 말로만 사랑한다고 하면 그 사랑이 지속되겠냐고 반문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액션이 필요하듯이 자신에게도 액션이 필요하며, 그것이 바로 자신을 추앙하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힐링 활동일 수도 있는 액션을 잘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윤 교수는 브레이크, 미니 브레이크를 생활 속에 도입하라고 조언했다.
“육아든, 회사 생활이든, 학업이든 몰두하던 일에서 잠깐 빠져나오는 거예요. 브레이크를 잘해야 쉼을 가질 수 있거든요.
그렇다고 제주도에서 한 달 살기처럼 긴 시간을 가지라는 건 아닙니다. 브레이크타임을 길게 가져도 육아나 회사 일을 잊지 못하면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니 브레이크, 하루 10분, 2~3시간이라도 나만의 브레이크를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윤 교수는 자신만의 미니 브레이크를 갖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세 가지를 제안했다. 과거에 했을 때 좋았던 것을 다시 해보고,
별 효과가 없으면 그다음은 하고 싶었던 것을 해 본다. 그래도 위안이 안 되면 자신과 정말 맞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하던 것을 해보는 것이다.
의외로 맞지 않을 것 같은 일에서 자기 위안을 찾는 경우가 많으니 시도해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