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 우리 바다를 가꾸고 일구는 사람들,
경기도가 응원합니다

2025. 03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에 주목하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자는 의의에서 시작한 기회소득. 이는 개인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과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특히, 작년부터 시행된 농어민 기회소득은 올해 지원을 더욱 확대해 더 많은 농어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정리. 편집실

지속가능한 농어업을 위해

농어민 기회소득은 지역사회를 유지하고, 건강하며 안전한 먹거리 생산, 식량안보 등 사회적 가치를 유지·발전시키는 농어민에게 보다 두터운 지원을 통해 농어업·농어촌의 공익적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또한, 농어촌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을 완화하고 지속가능한 농어업의 발전을 위해 시행되는 농어민 기회소득은 경기도 농어업인들에게 월 5~15만 원(연간 60~18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농어민 기회 소득 사업을 도입해 9개 시군 9,400명에게 42억 원을 지원했다.

기회는 커지고 혜택은 높였다!

올해는 용인시, 파주시, 양평군을 시작으로 화성·남양주·안산 등 24개 시군 농어민 21만 명에게 확대 지원된다. 해당 시군에 주소를 두고 농어업경영체에 등록되어 실제 농어업에 종사하는 농어민을 기준으로 크게 청년농어민, 귀농어민, 환경농어민, 일반농어민이 지원 대상이다.
청년농어민, 귀농어민, 환경농어민에게 월 15만 원(연간 180만 원 이내), 일반 농어민에게 월 5만 원(연간 60만 원 이내)을 시·군 지역화폐로 지원한다. 4월 중 접수기간이 시군별로 다른 만큼 (동두천시, 양주시 4월11일까지, 여주시, 의왕시 4월23일까지, 광명시, 광주시 4월30일까지 등) 자세한 일정은 주소지 시군이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기회소득 통합지원시스템(farmbincome.gg.go.kr)에서 확인 후 신청하시길 바란다.


Tip.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신청 기간 3. 4.(화)~4. 30.(수)
※ 시군 별로 기간이 다르므로 반드시 사전 확인 필요
지원 대상
해당 시군에 주소를 두고 농어업경영체에
등록되고 실제 농어업에 종사하는 농어민
· 50세 미만 청년농어민(단, 40세 이상 50세 미만은 농어업경영체 등록 10년 이내)
· 귀농어민(귀농·귀어한 지 5년 이내)
· 환경농어민(친환경농수산물, 동물복지축산농장 및 가축행복농장, 명품수산물)
· 일반농어민(청년, 환경, 귀농어민 이외의 농어민)
지급요건
해당 시군 연속 1년(또는 경기도 내 비연속 2년) 이상 거주 및 연속 1년 (또는 경기도 내 연속 2년) 이상 영농영어, 농외소득 3,700만 원 미만인 자
지급방식
· 기존 지역화폐 카드를 소지한 경우 해당 카드로 지급
· 지역화폐가 없는 경우 공카드를 발급하여 배부 및 지급
+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