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으로 지은 이유
1922년 공베르 신부가 지은 안성성당은 서양식 내부와
한국식 외관을 지닌 초기 성당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1985년 경기도 기념물 제82호로 지정되었다.
1794년 청나라 신부 주문모에 의해 우리나라에 들어온 천주교는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민중을 비롯해 정약용, 이승훈 같은 개혁 성향의 학자들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했다. 이런 현상을 염려한 조선 조정은 천주교 신자를 처형하거나 유배를 보냈는데,
이를 박해 또는 사옥이라고 한다. 1866년에 일어난 병인박해는 프랑스 선교사 9명과 8,000여 명의 천주교 신자가 처형당한 천주교 최대 박해 사건이었다.
1866년 병인박해를 전후해서 안성 지역 여러 곳에 천주교 신자가 모여 살았다. 이후 신자가 더 늘어나자 1900년에 지금의 부지를 매입하고 그 자리에 있던 기와집 21칸을 성당(8칸)으로 개조했다. 이때 초대 주임으로 부임한 신부가 공베르(Gombert, 한국 이름 공안국)였다.
공베르 신부는 1922년에 성당을 건립하고 안성 본당이라 이름 지었다. 안성 본당은 한국인에게 친근감을 주고 천주교 토착화를 위해 내부는 서양식인 반면, 구조와 외관은 우리나라 전통 목조 건축양식을 채택했다. 이는 우리나라 초기 성당에서 볼 수 있는 양식으로,
성당 건축사와 근대건축 양식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건립 당시의 앞모습은 현재와 다르다. 앞·옆면의 입구와 박공지붕이 일본풍이었는데, 앞면은 1955년에 고딕식 벽돌조로 성당 종탑부를 증축하면서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바꿨다.
안성 본당은 1970년에 대천동 본당을 분할하면서 구포동 본당으로 개명했고, 1985년 6월 경기도 기념물 제82호로 지정 된 것을 계기로 대대적으로 보수했다. 2000년, 본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기념 성당을 새로 건립하고, 이름도 구포동에서 안성 본당으로 변경했다.
주소 경기도 안성시 혜산로 33